메뉴보기
  • home
  • 도서관 서비스
  • 통합검색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사회통합  표지이미지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사회통합

  • 볼   륨:
  • ISBN: 9788971057889
  • 저   자: 김병조;김복수;서호철;오만석;은기수;정미량;정재기;조동기 [공] 지음
  • 발행인: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발행사항: a성남:b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c2011
  • 매체구분: 인쇄자료(책자형)
  • 형태사항: a248 p.:b삽화, 도표;c23 cm
  • 주기사항:
  • 북링크 MARC

서평정보

1990년대 들어 장단기 이주 노동 국제 결혼을 통한 외국 출신 이주 노동자들이 상당수 한국사회로 유입되면서 큰 변화를 야기하였다 물론 과거에도 외국인과의 교류는 있었지만 지난 10여 년의 경험은 훨씬 범위가 넓고 더 충격적이었다 현재의 다문화 상황은 저임금 노동력의 부족 저소득층 남성의 결혼난 혼인 감소와 저출산 등의 한국사회 내부의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상당 기간 다른 사회 다른 체제에서 생활했던 새터민탈북자과 중국 조선족으로 대표되는 디아스포라 한인韓人의 유입 역시 법률적·형식적 ‘국민’ 범주와 혈연에 따른 ‘민족’ 범주 사이의 혼란을 낳고 있다 이런 상황을 가리켜 ‘다문화’ ‘다문화 사회’ 또는 ‘다문화주의’라는 말이 흔히 쓰이고 있지만 과연 그 말의 내용...

연령별 선호도

초록색 지난 3개월 동안 대출횟수

  • 8
  • 6
  • 4
  • 2
  • 0
  • 영유아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 기타

같은 저자(동명)의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