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서평정보
도덕은 아도르노에게 단순히 이런저런 철학적 반성의 대상 중 하나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도덕의 문제는 결국 자유의 문제이며 자유는 아도르노가 평생에 걸쳐 사유했던 해방적 실천의 가능성 한가운데에 놓여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자유는 가능한가 오늘날 올바른 삶의 가능성은 어떤 방식으로 주어져 있는가 이런 물음들이 도덕에 대한 그의 사유를 이끌고 있으며 이 사실은 도덕철학이 아도르노 철학 전체에 대해서 갖는 근본적인 의미를 입증한다이런 문제의식 속에서 아도르노는 『미니마 모랄리아』1951에서 현대적 삶의 편린들을 좇아 오늘날 도덕적 삶의 상태와 가능성을 아포리즘 형식 속에서 탐색했으며 『부정 변증법』1966의 한 장에서는 칸트의 도덕철학을 모델로 삼아 변증법적 도덕이론을 전개한다 아도...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대출상태 | 반납예정 | 예약횟수 | 예약 |
---|---|---|---|---|---|---|---|
응암정보도서관 | (응암)종합자료실 | 190-ㅇ122ㄷ | ED0000031596 | 이용제한 | 0 | 로그인 필요 |
연령별 선호도
지난 3개월 동안 대출횟수
- 8
- 6
- 4
- 2
- 0
- 영유아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