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서평정보
범죄 수사에서 프로파일러의 역할과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가운데 범인의 본심을 간파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프로파일러의 세계를 조명했다“우리는 점성술사도 해결사도 아니고 수사 지원을 하는 사람들”프로파일러의 구체적인 역할과 실제 활동 사례국내에 프로파일링 기법이 도입된 때는 2000년대 초반이다 1990년 이전까지만 해도 살인의 이유는 원한이나 치정 금전 문제 정도의 수준을 벗어나지 않았다 그러던 중 1990년대 중반 지존파와 막가파처럼 기존의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조직범죄가 등장했고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유영철과 정남규 강호순 같은 무고한 피해자를 노리는 연쇄살인범이 잇달아 나타났다 즉 기존의 수사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이상 범죄’가 증가하던 시기에 한국의 프로파일링은 시작됐다...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대출상태 | 반납예정 | 예약횟수 | 예약 |
---|---|---|---|---|---|---|---|
은뜨락도서관 | [은뜨락]종합자료실 | 351.17-ㅎ255ㄷ-4 | EU0000014911 | 연체중 | 2025/05/07 | 0 | 로그인 필요 |
연령별 선호도
지난 3개월 동안 대출횟수
- 8
- 6
- 4
- 2
- 0
- 영유아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