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서평정보
‘언어 코드’로 잡아낸 현대사 21장면이 책에는 갖가지 형태로 된 언어가 주제어로 등장한다. 우리가 쓰는 일상어와 유행어·영어·특정 표현·한자·한글 등 ‘협소한 의미의 말’뿐만 아니라, 삐라·국가보안법·근로기준법·저항시·국어사전·한글맞춤법·문법 등 언어를 매개로 구성된 각종 역사적 사건과 지표 등 ‘광의의 말’이 망라돼 있다. 구체적으로는 1945년 해방공간에서 벌어진 ‘삐라 공방전’부터 1970년대 전개된 ‘국어순화운동’까지다. 물론 그 이후 논의된 얘기들이 어떻게 5공화국(1980년 광주를 포함하여) 등을 거쳐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지 서술돼 있다.‘말의 주도권’을 둘러싼 투쟁 혹은 역사사실 우리 현대사에서 말(언어)과 역사의 관계는, 말하려는 자와 그것을 막으려는 자의 투쟁이었다고 해도 과......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대출상태 | 반납예정 | 예약횟수 | 예약 |
---|---|---|---|---|---|---|---|
은평구립도서관 | 종합자료실 | 911.07-ㄱ319ㅇ | EM0000082922 | 비치중 | 0 | 로그인 필요 |
연령별 선호도
지난 3개월 동안 대출횟수
- 8
- 6
- 4
- 2
- 0
- 영유아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