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서평정보
새로운학교는 일반 학교의 교과별·교사별·교실별 ‘단절’과 ‘분리’를 넘어 ‘협력’과 ‘연결’의 연쇄반응을 낳는다 ‘빈말’을 하는 형식적 계획과 보고가 아니라 ‘참말’로 진행된다 ‘닫힌’ 교실이 ‘열린’ 학교로 변화한다 교사 학교를 바꾸다는 해방 이후 교사운동의 역사를 조망하면서 그 속에서 탄생한 새로운학교운동의 등장과 특징을 밝히고 있다 한국 교육이 20년 전에 수립된 5·31교육 체제에서 4·16교육 체제로 근본 패러다임을 바꿔야 하는 전환점에 선 지금 글쓴이는 한국 학교개혁사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학교운동이 어떻게 화답을 할 수 있을지 탐구해나간다...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대출상태 | 반납예정 | 예약횟수 | 예약 |
---|---|---|---|---|---|---|---|
은평구립도서관 | (은평)종합자료실 | 370.4-ㅈ492ㄱ | EM0000145838 | 비치중 | 0 | 로그인 필요 | |
은평뉴타운도서관 | (뉴타운)종합자료실 | 370.4-ㅈ492ㄱ | EL0000016944 | 제적자료 | 0 | 로그인 필요 | |
구립구산동도서관마을 | (구산동)종합특화_1층 | 370.4-ㅈ492ㄱ | EG0000027241 | 제적자료 | 0 | 로그인 필요 |
연령별 선호도
지난 3개월 동안 대출횟수
- 8
- 6
- 4
- 2
- 0
- 영유아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