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서평정보
‘근대 한국어’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다 보편사적 ‘근대’ 관점에서 우리 어문생활을 되돌아보기 위하여 1장은 국어학계에서 통상적으로 말하는 ‘근대국어’의 개념을 뒤로하고 왜 ‘근대 한국어’라는 개념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다룬다 지금껏 국어학계에서는 음운 형태 변화 등의 언어 내적인 변곡점을 기준 삼아 ‘중세국어’ ‘현대국어’ 등의 용어로 시대구분을 해왔다 참석자들은 이러한 구분이 세계사적 ‘근대’ 개념과 소통할 수 없는 국어학계에 한해 통용되는 고립적인 개념이라는 데 입을 모은다 ‘근대’를 자본주의 세계체제라 정의하고 이에 대한 언어적 대응으로서 ‘근대 한국어’의 문제를 숙고하면 우리 어문생활의 실제와 변천을 다각도로 들여다볼 수 있고 그 결과와 한계에 대한 올바른 진단...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대출상태 | 반납예정 | 예약횟수 | 예약 |
---|---|---|---|---|---|---|---|
은뜨락도서관 | [은뜨락]종합자료실 | 710-ㅂ688ㅎ | EU0000011446 | 비치중 | 0 | 로그인 필요 |
연령별 선호도
지난 3개월 동안 대출횟수
- 8
- 6
- 4
- 2
- 0
- 영유아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