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 home
  • 도서관 서비스
  • 통합검색
조선의 변방과 반란, 1812년 홍경래 난  표지이미지

조선의 변방과 반란, 1812년 홍경래 난

  • 볼   륨:
  • ISBN: 9791156121732
  • 저   자: 김선주 지음;김범 옮김
  • 발행인: 푸른역사
  • 발행사항: a서울:b푸른역사,c2020
  • 매체구분: 인쇄자료(책자형)
  • 형태사항: a344 p.;c23 cm
  • 주기사항: aMarginality and subversion in Korea: the Hong Kyongnae rebellion of 1812
  • 북링크 MARC

서평정보

농민반란 계급투쟁 조세 폭동홍경래 난 색다르게 보기 완결판“성공한 혁명은 모두 썩어서 무너질 듯한 문을 박차고 들어가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미국의 경제학자 J K 갤브레이스는 혁명의 세 가지 필요조건을 들면서 이 같이 갈파했다 그렇다면 1812년 평안도에서 일어난 홍경래의 반란은 왜 실패했을까 조선왕조의 통치 이념과 권력체제가 아직은 내구성이 있었던 이유가 가장 크겠다 하지만 조선왕조 쇠퇴의 신호탄으로 자리매김 되었기에 그 배경이나 주체세력의 실체 나아가 반란의 성격은 일제강점기 이래 많은 학자 문인들의 관심거리가 되었다 “토착적이고 근대적인 혁명 전통과 정신의 뿌리”신채호 등로 보기도 하고 한국사의 쇠퇴와 침체의 증좌오다 쇼고 등 일본 학자로 보기도 했다 재미 한국사학자가 관...

연령별 선호도

초록색 지난 3개월 동안 대출횟수

  • 8
  • 6
  • 4
  • 2
  • 0
  • 영유아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 기타

같은 저자(동명)의 책